Fork을 통해 다른 사람의 Repository를 자신의 GitHub 계정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.
(commit history와 파일 모두)
이렇게 복사된 Repository를 원본 저장소의 fork라고 합니다.
private repository라도, 접근 권한이 있으면 fork할 수 있습니다.
1. Repository - Fork - Create a new fork

2. Repository 이름 설정

fork한 repository는 출처가 표기됩니다.

fork된 repository에 push하면,
원본이 아닌 사용자의 repository로 push됩니다.
원본 프로젝트에 다이렉트로 push하지 못하더라도 pull은 가능합니다.
오픈소스 프로젝트나 팀 프로젝트에서 fork를 여러 개 두어 작업할 수 있습니다.
작업을 완료하면, pull request를 통해 원본 repository에 merge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.


fork 를 사용하면,
수많은 개발자를 프로젝트 공동 작업자로 등록하지 않고도 함께 작업할 수 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SCM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 & GitHub 13] Workflow - 브랜치 보호규칙(branch protection rules) (0) | 2024.05.19 |
---|---|
[Git & GitHub 12] Workflow - 기능 브랜치(feature branches), pull requests(PR) (0) | 2024.05.18 |
[Git & GitHub 11] Workflow 필요성 - 단일(main, master)브랜치만 사용 시 (0) | 2024.05.18 |
[Git & GitHub 10] git fetch, git pull(git fetch + git merge) (0) | 2024.05.17 |
[Git & GitHub 9] git push, origin, switch (0) | 2024.05.16 |